압록강은 흐른다(5)
<방학>
165쪽 서당에는 여름 방학이 없었다. 날씨가 아주 더워지면 보통 때보다 공부 시간을 조금
줄였을 뿐이었다. 물론 일요일도 없었고, 한 달에 이틀만 놀았다.
그러나 새학교에서는 일요일은 휴일이었고, 여름에는 한 달 동안이나 편하게 보낼 수가
있었다. 얼마나 좋은 제도인가!
166쪽 아버지도 이 제도를 좋아하셨다. 아버지는 멀리 떨어진 시골에 있는 유명한 훈장님한테
가서 습자를 더 공부하든지, 아니면 아버지 곁에서 한문책을 옮겨 쓰든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셨다. 아버지는 내가 습자 연습을 더 하길 바라셨다. 나는 아버지 곁에 있기로
결정했다. 나는 가는 붓 여러 개와 새 공책을 받았고, 거기에 쌀알만한 크기의 글자로 채워야만
했다. 매일 아침 원문을 두 쪽씩 배우고, 오전 내내 그것을 옮겨 썼다. 아버지는 내게 많은
글자를 반복해서 연습시키고, 때로는 전면을 다시 쓰게 하셨다.
오후에는 흰 돌과 검은 돌로 겨루는 바둑이란 고상한 놀이를 배웠다.
167쪽 "소리가 멈출 때까지 기다려라. 그런 다음 너의 돌을 놓되, 절대 경솔하게 놓지 말아라."
174쪽 "중국 사람은 너무 보수적이야. 전에 비단 장수 유 씨에게 상투는 구식이니 깎는 게 좋겠다
고 말했다가 욕만 실컷 얻어 먹었거든
175쪽 '유럽을 오랑캐나라다. 그 곳에는 공자가 가르치는 윤리 도덕이 전혀 없다.'
'보수적'이라는 말은 별로 좋게 들리지 않았다. 나는 그 말이 '바보' 또는 '완고'를 뜻하는 것으로
알았다. 중국 사람들이 실제로 그렇게 보수적이라면 그건 정말 유감이었다.
나는 중국이 왠지 아름답고, 부드럽고, 훌륭한 나라로 여겨졌기 때문이었다. '양자강'이나
'동정호', '서주' 혹은 '항주'라는 말을 듣기만 해도, 또는 '소동파'나 '도연명'의 시 몇 구절을
읊기만 해도 내 앞에는 황홀한 세계가 전개되었다.
셋째 누나와 어진이 누나도 중국 소설을 많이 읽은 까닭에 역시 그렇게 생각했고 그렇게 느꼈다.
그들도 양자강 계곡의 아침 안개나 달빛에 반짝이는 요양 숲을 직접 보지는 못했어도, 저 훌륭한
중국을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좋아했고, 심지어는 그들이 '동방의 작은 나라'라 보르는 우리 나라
보다도 더 좋아했다.
180쪽 우리가 적은 민족이고, 작은 나라라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현명하다는 것이었다. 저 크고 위대한 중국도 일찍이 우리의 선조들이 현명하였기 때문에 우리를
'작은 중국'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181쪽 일본에 문자와 철학, 종교와 건축, 그 밖에 많은 것을 전해 준 나라가 바로 우리가 아닌가!
신문명을 받아들이는 데에는 일본보다 조금 뒤지기는 했으나, 그것은 걱정할 일이 아니었다.
우리는 매우 영리한 민족이었다.
'생각과 해석 > 눈높이 -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 독서 10분이 기적을 만든다(2) (0) | 2006.01.03 |
---|---|
아침 독서 10분이 기적을 만든다(1) (0) | 2006.01.03 |
압록강은 흐른다(4) (0) | 2006.01.02 |
압록강은 흐른다(3) (0) | 2006.01.02 |
압록강은 흐른다(2) (0) | 2006.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