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유리 슐레비츠 그림. 글/최순희 옮김. 시공주니어. 2006.
네버랜드. 세계의 걸작, 그림책. 173.
유리 슐레비츠가 1980년에 칼데콧 아너상을 받은 작품이다.
그림의 분위기가 서구적이기보다는 오리엔탈적이다.
무엇이 보물일까?
책표지에 마차를 타고 가는 두 사람의 장면이 클로즈업되는데
도대체 보물과 무슨 관련이 있나?
보물을 찾으러 가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인가?
어떤 보물일까? 아이들은 보물을 무엇으로 여길까?
핸드폰이 보물이란다. 게임기가 보물이란다. 돈이 보물이란다.
고전적인 의미의 보물찾기라고 할 수 있다.
반전이 있다. 보물을 찾아러 갔던 주인공 이삭이 결국 먼 길을 갔다가 자기 집으로 돌아온다. 보물은 바로 자기 집 아궁이 밑에 있었다.
사실 이삭이 집으로 돌아오게 되는 계기는 왕궁의 보초대장이 이삭을 놀리기 위해서 했던 말이었다.
보초대장은 이삭의 꿈이야기를 패러디해서 왕궁이 아니라 너네 집에서 찾아보라는 식으로 꿈이야기를 돌려댄다.
그런데 정말로 보물이 이삭의 집 아궁이에서 발견된다.
유리 슐레비츠는 격언을 끌어낸다.
'가까이 있는 것을 찾기 위해 멀리 떠나야 할 때도 있다'
이 말이 이 보물 책의 보물이다. 사실 삶을 살다보면 정말 소중한 보물은 특별한 어떤 보물이 아니다. 현재의 삶 자체가 모두 보물이다. 건강하게 행복하게 이웃들과 살아간다면 그것이야말로 보물이다.
현재 속에 나의 곁에 보물이 만만으로 묻혀있고 묻어있다.
보물이 흐르고 있다. 보물을 캐야지.
이삭은 자기에게 장난을 친 보초 대장에게 값비싼 보석을 보내준다.
이거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죽는 날까지 다시는 가난하지 않게 살았다고 이야기는 끝난다.
'책읽어주기 > 그림책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 둘도 없은 바보와 하늘을 나는 배(유리 슐레비츠) (0) | 2019.08.07 |
---|---|
내가 만난 꿈의 지도(유리 슐레비츠) (0) | 2019.08.06 |
지각대장 존(존 버닝햄) (0) | 2019.08.05 |
여름 휴가(장영복 글/이혜리 그림) (0) | 2019.07.25 |
위를 봐요(정진호) (0) | 2019.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