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을 구조화한다.

학습 - 배우고 익히는 것, 학생의 활동이다.

교수에 대해서 대응하는 학습...

 

어떻게 학습을 구조화하겠는가?

학습을 어떤 그릇에 담게한다?

 

학생의 활동이 어떤 그릇 속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겠는가?

큰 그릇과 작은 그릇이 있겠다.

 

한 개인의 활동이 있겠고, 학급 전체의 활동이 있겠다.

(우선 학급으로 학습을 제한하여 생각해 볼 때)

헤로 반 브루멜른(앞으로는 헤로 라고 약칭하겠다.)은

'교실에서 하나님과 동행하십니까?" (IVP. 1996. 3. 25 / 2012. 5. 25 초판 11쇄)

 

제4장에서 학습을 위한 학급의 구조화

 

라는 주제로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

- 학습 공동체의 구성원인 교사와 학생

- 인격적 관계에서 생기는 죄로 인한 분열 극복하기

- 제자도를 향한 훈육

- 교정적 훈육

- 학교 생활의 구조화

- 물리적 환경의 구성

- 학습을 위한 그룹 구성

- 학습 센터의 이용

- 인격적인 학습

- 제자도를 위한 구조화

이상의 소제목들이 제4장을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인격적인 학습]이 핵심이다.

학습이란? 인격적인 학습을 말한다.

인격적인 학습이란 무엇인가?

 

"아주 완고한 행동주의자들이라고 해도, 결국 학습이 비인격화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123쪽)

 

그러나 인격화된 학습이란 어떤 인간관을 가지느냐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인간관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그렇다.

성경적인 인간관에 기초하여 생각할 때, [인격화된 학습]의 뜻을 잘 분별해야 한다.

(On the basis of a Scriptual view of the person,

a number of meaning of personalized learning need to be rejected.)

 

1. 인격화된 학습은 개별화 학습과 같은 말이 아니다.

(First, personalized learning is not the same as individualized learning.

Individualized learningI(e.g. through computer-based instruction : CBI, 개별화된 학습) does not

necessarily meet the learning needs of the person, nor does its exclusive use prepare persons to live in community.

개별화 학습은 인간의 학습 욕구에 딱 맞는 것이 아니며, 개별화 학습만으로는 공동체안에서 잘 살아가도록 준비시키는

일을 하지 못한다.

개별화 학습은, 어떤 기본적인 개념과 기능을 학습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결정론적이고 행동주의적인 인간관에 기초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한편으로 매일 강의로만 때우는 교사 역시 [인격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게하지 못한다.

이 방법은 모든 학습자의 요구(needs)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왜냐하면 모든 학습자들이 하나님의 책임있는 형상으로서의

소명을 실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학습자들은 선택하고 결정해야 할 책임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