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개정 교육과정은 (2009년 초등학교 1,2학년부터 적용)

학습자 중심, 단위 학교에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및 선택중심교육과정체제 등

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과 체제를 유지하면서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 대처하고,

교육과정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수시 개정' 작업의 일환으로 추진해 왔다.

 

새 교육과정이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교육과정에 관심을 갖고 적극 참여해야 한다.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와 목적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동참할 때 현장에 필요한 방안이 도출될 수 있다.

 

1.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 교육과정은 의도된 교육계획으로서 학교 교육에서 '왜, 무엇을, 어떻게, 어느 수준과 범위까지 가르치고

평가해야 하는가'를 계획한 교육의 기본 설계도이다.

* 국가는 대한민국 학생이라면 누구나, 어디서든지 기초-기본 교육을 조화롭게 받을 수 있도록

국가  교육과정을 제공하며,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을 선정하고 교육이 잘 이루어졌는지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을 지원해야 한다.

* 각 시-도 교육청은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지역 상황에 맞는 시-도별 지침을 반영한 세부 설계도를

만들어 지원하며, 각 학교에서는 실정에 맞는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2. 교육과정을 개정한 이유는?

*  제7차 교육과정 개정(1997.12.30) 이후 사회-문화적 변화를 반영한 교육과정 내용 및 내용 체계 개편이 필요하였다.

*  과학-역사 교육 강화 등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야 할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 수준별 교육과정 등 현행 교육과정 적용상의 문제점 및 교과내용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 2006년 3월부터 주 5일 수업제 월 2회 실시에 따른 수업시수의 일부 조정(감축)이 필요하였다.

* 교육과정 수시 개정체계를 도입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기본 틀을 유지한 상태에서 부분적인 개정을 하였다.

 

* 새로 개정한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의 틀을 유지하므로 '제8차 교육과정'이 아니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라고 부른다.

 

3.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은 무엇인가?

* 현행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및 체제를 유지하였다.

-학습자 중심, 단위 학교에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철학 유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초등학교 1학년~고등학교 1학년)

  및 선택중심교육과정(고등학교 2,3학년 해당, 진로와 적성에 따라 학생들이 과목 선택)

  등 기본체제 유지

 

* 단위 학교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을 확대하였다.

-단위 학교의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 부여

 

* 국가-사회적 요구사항 반영 : 과학교육및 역사 교육 강화 등

*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개선 : 선택과목 일원화 및 과목군 조정 등

* 교과별 교육 내용의 적정화를 추진 : 학습량 미 수준 적정화, 학교급-학년-교과간 내용의 연계성 강화 등

* 수업 시수 일부를 조정 : 현행 주 5일제 수업제 월 2회 실시에 따른 수업시수 조정 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