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앞에 교사로 서는 것이 두렵다.
아니 부끄럽다.
교육의 교자를 비로소 느끼면서
교육이 하루 아침에 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년을 살면서
그 습성이 배겨지는 것인데
그 습성을 제대로 배기게 할 수 있는 사람이
초등학교 교사라고 할 수 있겠다.
말과 행실이 바지런한 사람
지혜와 재치가 번뜩이는 사람
50%도 되지 않는 사람이
앞에서 죽
쑤고 있다.
아이들이 학습에 흥미를 잃어가고
단순화 되어가는 모습을 보면서
아,
이 아이들을 어찌 하리이까?
한숨이 절로 나온다.
교과를 잘 가르치는 선생님을 바라는 아이들의
선택은 정확하다.
무엇이 재미있게 하겠는가?
세상과 우주와 자연과 삶과
자신과 역사를 이야기할 때
무슨 재미가 있는가?
눈앞에 퍼뜩이는 게임들이 즐비한데
무슨 타령같이 이 느긋한 교육과정을 밟아가야 하는가?
그냥 한 순간에 업어치기를 해버릴까?
아니지, 한 걸음 한 계단 씩 올라가지 않으면 안되
교사는 이것에 충실해야 해.
교육과정
아이들에게 이 교육과정을 내면화하는 책임이 교사에게
있다. 안내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는 부족해
어떻게 내적인 동기를 촉발시켜서
아이들에게 꿈틀거리게 해야 하는가?
요즘은 오히려 모자라는 아이들을 한꺼번에 맡아서
가르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어중이 떠중이 들을
무슨 잣대를 가지고 다 추수리겠는가?
'교육인식과 철학 > 교육과정 사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학년 구상(070126) (0) | 2007.01.25 |
---|---|
[스크랩] 초중고 교장 재량으로 수업일수 감축 (0) | 2007.01.25 |
자기연수(2)-서로를 살리는 교육 (0) | 2006.09.05 |
자기 연수 (0) | 2006.08.24 |
[스크랩] 키에르케고르-실존의 삼단계설 (0) | 2006.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