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마나부 교수가 주동하는 배움의 공동체에서 말하는 '탁월성' 개념이 탁월한 것인가?
공공성, 민주주의, 탁월성 세 가지 철학 중
1) Exellence 탁월성
- 가르치는 활동, 배우는 활동은 모두 탁월성을 추구할 것을 요청받고 있다.
- 여기서 말하는 탁월성이란 타인과 비교하여 우수하다는 의미에서의 우수함이 아니다.
- 스스로의 최선을 다하여 최고를 추구한다는 의미에서의 탁월성
- 경쟁에 의한 탁월성의 추구는 우월감이나 열등감을 초래하지만,
스스로 최선을 다하여 최고를 추구하는 탁월성은 가르치는 자에게도 배우는 자에게도
신중함과 겸허함을 가져다 준다.
- 가르치는 활동과 배우는 활동은 본질적으로 이러한 의미에서의 탁월성 추구를 포함하여 성립된다.
- 이러한 탁월성의 추구는 '발돋움과 점프가 있는 배움'으로 실현가능하다.
2) 학교를 '자율적인 전문가조직'으로 재조직하는 일
(재조직보다는 정상화하는 일이라고 표현해야 옳겠다... 민주주의 사회 정신을 따라서도 그렇고.....)
- 전문가란 과학적인 이론이나 기술에 숙달된 '기술적 숙달자로서의 전문가'가 아니다.
- 복잡한 문제 상황에 대한 성찰이나 반성에 기초한 실천적인 견식을 행사하는
'반성적 실천가' 로서의 전문가이다.
-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사는 학교 내부에 동료성을 구축하여 전문가로서 협동을 실현함과
동시에 학교 외부로는 전문가나 교육행정 관계자와의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노력을 전개한다.
- 교육연구자와 협동관계와 교육행정과의 협력관계는 학교개혁을 측면에서 촉진하는 요소가 되며
그 협력관계는 대등하고 평등한 관계로 재구성되어져야 한다.
(정상화되어야 한다. 사실 이런 것을 교육 혁신이라고 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 물론 현실에서는
의미가 있고 필요한 일이지만... 그냥 민주주의 교육의 실현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이자 전제이다...)
-
'교육실천 > 학습의 구조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움이란 질적연구와 관련해서 (0) | 2017.03.10 |
---|---|
[스크랩] 개념정리형 템플릿 스스로하기 ppt 파일입니다. (0) | 2016.08.26 |
[스크랩] 개념정리형 템플릿 스스로하기 ppt 파일입니다. (0) | 2016.08.26 |